728x90
반응형
변수란
● 테이터를 담아 두기 위한 상자
● 값이 변할 수 있음 : 변수에 저장한 값은 프로그램 중 다른 값으로 바뀔 수 있음
변수 만들기(선언)
영문과 숫자을 이용해서 작성 단 숫자로 시작 불가
한글 사용 안됨
특수 문자 사용 불가 , 단 언더바 ( _ )는 사용 가능
C#에서 이미 사용하는 키워드, 변수 이름과 중복되면 안 됨
변수에 어떤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 지정하여야 함
데이터 타입이 다른 값을 변수에 저장하려면 에러가 발생함
유니티 스크립트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본 테이터 4가지
int 정수 타입
float 소수 타입
string d 문자열 타입
bool 참/거짓 논리 타입
Vector3 위치 값
데이터 타입 예(유니티)
GameObject
Transform
Rigidbody
Collider
변수의 이름 짓는 법
변수의 이름을 지을 때는 변수에 저장할 값의 특지를 가장 정확히 표현할 수 있는 이름을 찾으려고 노력해야 한다
name, speed, score처럼 포괄적인 이름이 아닌 playerName, carSpeed, opponentScore처럼 구체적인 이름을 하는 것이 좋다
변수의 동작 방식
유니티의 빈 오브젝트를 하나 만들어서 아래와 같이 VariableTest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컴포넌트를 추가한다
using System.Collections;
using System.Collections.Generic;
using UnityEngine;
public class VariableTest : MonoBehaviour
{
public int myNumber = 9;
void Start()
{
Debug.Log(2 + 9);
Debug.Log(11 + myNumber);
}
void Update()
{
}
유니티의 Play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 값이 콘솔 창에 나온다
변수를 사용하면 원하는 값을 저장하거나 꺼내 쓸 수 있으며 변수 이름 그대로 사용해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
반응형